
DataBase/PostgreSQL 2022. 3. 11.
[PostgreSQL] 이전 행 및 다음 행을 비교하는 방법 - Lag와 Lead
📢 들어가며 전 행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같으면 ''을 다르면 원래 값을 리턴하는 로직 구현해야 했다. Ag Grid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valueFormatted, valueGetter, cellClassRulers 등을 사용할 때, 같은 데이터가 중복으로 2번 이상 타는 것이 문제였다. 중복으로 타면서 전 행의 데이터를 비교해야 하는데 자기 자신과 비교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고자 params.node.rowIndex를 받아서 체크하면서 해당 index보다 작으면 실행이 안되게 구현하였다. 적은 데이터일 때는 문제 없이 작동하는 듯 보였으나 무한 스크롤을 사용하는 서버 사이드 그리드이기에 스크롤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이 문제는 서버에서 해결해야 했다. 알아보니 쿼리문에서..

DataBase/PostgreSQL 2022. 2. 21.
[PostgreSQL] drop, delete, truncate의 차이점
1. DROP 명령어 개념 :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는 명령어 설명 - 해당 테이블 자체가 삭제된다. - 해당 테이블에 생성되어있던 인덱스, 제약조건 등도 삭제된다. - 삭제 후 되돌릴 수 없다. - DROP TABLE [테이블명] 2. TRUNCATE 명령어 개념 : 테이블의 데이터를 전부 삭제하고 사용하고 있던 공간을 반납하는 명령어 설명 -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만 모두 삭제되며 테이블 자체가 삭제되는 것은 아니다. - 해당 테이블에 생성되어있던 인덱스도 함께 삭제된다. - 조건을 걸지 못해 데이터를 한꺼번에 다 지운다. - 삭제 후 되돌릴 수 없다. - DDL이다. - TRUNCATE TABLE [테이블명] 3. DELETE 명령어 개념 : 테이블의 조건이 맞는 데이터를 삭제한다. 설명 - 데..
